어문
- 홈
-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노래이자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만료저작물인 아리랑을 응원가 버전으로 작곡 및 편곡한 음원에 가수 윤도현이 가창한 음원이다.
-
안데르센의 명작 동화 성냥팔이 소녀
-
안데르센의 명작 동화 미운 아기 오리
-
안데르센의 명작 동화 엄지 공주
-
안데르센의 명작 동화 눈의 여왕
-
안데르센의 명작 동화 인어 공주
-
한국저작권위원회
이정림 작가 수필 외길의 고독 그리고 아름다움
-
소녀 시절 아이를 잃게 된 할머니에게 찾아온 엄지 공주 이야기입니다. 시간이 지나 혼자가 된 엄지 공주는 유린을 당하며 끔찍한 시간을 보내지만 용기를 가지고 탈출에 성공해서 살게 됩니다. 악인에게는 처벌이 주어지고 피해자들에게는 보상이 주어지는 정의가 있는 소설입니다.
-
이가연
엄지 공주 스토리를 조선시대 배경으로 재탄생시킨 작품입니다. 부모님은 엄지 소년이 자라지 않는다는 이유로 버렸지만 엄지 소년의 특별함을 알아본 광대를 통해 소년이 자신의 가치를 깨닫게 되는 이야기를 조선시대 전기수가 시장에서 들려주는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
정병준
다른 신생아들 보다 일찍 태어나 엄지만한 작은 사이즈로 인큐베이터 생활을 하는 아기와 그 상황을 같이 보내는 부모님을 바라본 현실적인 이야기입니다. 아기를 걱정하는 부모님의 심정을 느껴보실 수 있습니다.
-
송지현
미운 아기 오리는 자신의 아름다움을 모르고 살았다가 깨닫게 되는 이야기였다면 재창작한 '백조'는 현실의 미운 아기 오리와 다름없는 자신을 숨기고 아름다운 게임 캐릭터로 자신을 표현하는 학생의 이야기를 써낸 작품입니다. 외모로 평가하는 사람들을 비판하는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
신서영
자신의 생각을 말하지 못하고 자신만을 바라보며 사는 부모을 위해 꾹 참고 살아가는 아이로 바꾼 현실적인 이야기입니다. 처음에는 남들보다 조금 작은 키가 문제였지만 갈수록 '조금 늦은' 부분들이 문제가 됐습니다. 부모님들은 자신의 아이를 어떻게 바라봤는지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성냥팔이 소녀를 SF 장르로 재해석한 작품입니다. 성냥을 SF 장르답게 트랜스 매치스라는 장치로 바꾸었습니다. 원작의 소녀와 재해석한 이야기의 공주는 불빛을 통해 남들이 보기엔 비극적이지만 본인에겐 행복한 결말을 맞이했습니다.
-
성냥팔이 소녀가 혼자 맞이한 비극적인 결말을 현실에서 살아가는 독거노인의 시점으로 재창작했습니다. 리어카를 훔쳐 도망가는 도둑을 쫓는 노인에게 조금의 관심이 있었다면 병원에 가지 않았을 것이고 보호자 연락이 되지 않는 노인에게 관심이 있었으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조금의 관심이라도 있었다면'을 생각하시면서 읽어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이지은
따듯한 관심 하나가 생명 하나를 살릴 수 있다는 것을 동화로 표현했습니다. 모두가 무시하고 스쳐 지나가더라도 조그마한 배려와 관심이 소녀를 춤추게 합니다.
-
김은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와인과 인어공주를 접목시킨 동화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 원작과는 다르게 좋은 마음을 가진 사람은 좋은 결과가 나타난다는 해피엔딩으로 끝나게 됩니다.
-
이보영
인어 공주를 읽어주는 엄마의 입장에서 바라본 작품입니다. 딸이 자신과 인어 공주처럼 왕자의 결혼을 축하해 주기 위해 칼을 꽂지 못하고 거품이 되는 비극적인 결말처럼 현실을 순응하며 살지 말고 자신이 원하는 곳, 선택한 방향으로 나아가며 살아갔으면 하는 심정이 나타나는 이야기로 작성했습니다.
-
신연정
성냥팔이 소녀의 비극적인 결말이 아닌 희망적인 이야기를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생일이지만 부모님께 축하를 받지 못하는 설이와 눈이 오고 춥지만 거리를 서성거리며 성냥을 파는 소녀가 성냥의 불꽃을 통해 만나 서로에게 힘이 되는 이야기입니다.
-
53x45.5cm의 Canvas에 Mixed media 기법을 사용해 2017년에 완성한 작품이다.